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4절기 그것이 알고싶다. 뜻, 유래, 날짜 알아보기

by 열공줌마 2023. 1. 6.
반응형

24절기란 태양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황도에 따라 1년을 24개로 나누어 정한 날로 중국에서 처음 만들어졌는데요. 우리나라에는 조선시대 무렵부터 사용이 되었습니다. 음력이 아닌 양력인데요. 이 시간에는 24절기의 뜻과 유래, 2023년 절기 날짜에 대해 살펴봅니다.

 

 

 

24절기-태양-황도-양력
출처 : 지식백과

 

 

24 절기 유래

 

절기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이기도 한데요. 절의 뜻은 마디 절로 구분, 전환점을 뜻하고, 기는 기운 기로 15일이라는 뜻이 담겨있습니다. 그리하여 절기는 15일마다 돌아오게 되어 365일 나누기 15는 24 절기가 되는 것입니다.

 

24절기는 음력을 기준하여 정했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24절기는 양력기준으로 절대 음력기준으로 정해진 것이 아닙니다.

동양문화권에서 사용하니 당연히 음력일 거 같지만, 달이 차고지는 걸 기준으로 날짜를 세면 음력, 태양이 움직이는 걸 기준으로 하면 양력이 됩니다. 태양의 움직임을 보고 정한 절기는 양력에 속합니다.

 

태양을 중심으로 지구가 돌게 되는데요. 황도를 한 바퀴 돌면 360도이고, 이것이 15도 움직일 때마다 절기를 주어져 24 절기가 되는데요. 가을에 들어가는 입추가 양력 8월 8일로 빠른 것은 절기 날짜를 음력이 아닌 양력 기준으로 정하기 때문입니다.

 

그럼 절기는 왜 만들었을까요? 달을 기준으로 음력을 쓰다 보니 날짜를 계산하는 데는 별 문제가 없었지만 계절변화를 예측하기 힘들었습니다. 그러면 농사를 짓기도 힘이 들었겠지요. 그리하여 중국 주나라 때 화베이 지방 기후에 맞춰 날짜에 이름을 붙였는데 그것이 바로 절기인 것입니다.

 

 

사계절의 절기

 

봄, 여름, 가을, 겨울의 계절이 3개월 단위로 구분되고, 한 계절에 총 6개의 절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1. 봄 

  • 입춘 (양력 2월 4일) : 24 절기 중 첫 번째 절기로 봄이 들어온다는 뜻입니다. '입춘대길'이라고 종이에 적어 대문에 붙이면 봄과 함께 길한 운이 들어온다는 풍습이 있습니다.
  • 우수 (양력 2월 19일) : 눈이 녹아서 비가 된다는 뜻으로 '우수경칩에 대동강 물이 풀린다'라는 속담처럼 봄비가 내리기 시작하고 초목이 싹트는 절기입니다.
  • 경칩 (양력 3월 6일) :  개구리가 잠에서 깬다는 뜻인데요. 봄비가 내리면 땅속에 벌레들이 겨울잠에서 깨어나 꿈틀거린다는 것으로 본격적인 농사를 준비하는 절기입니다.
  • 춘분 (양력 3월 21일) : 낮이 길어지기 시작하는 날로 태양의 중심이 적도 위를 똑바로 비쳐 음양이 서로 반반으로 낮과 밤의 길이가 같습니다.
  • 청명 (양력 4월 5일) : 하늘이 차츰 맑아진다는 뜻으로 맑고 밝은 봄날씨가 시작이 되는 날로, 청명날에 날씨가 좋으면 그해 농사가 잘되고, 어획량이 증가한다고 점을 칩니다.
  • 곡우 (양력 4월 20일) : 곡식이 자라는데 이로운 비가 내리기 시작하는 날로 곡우가 시작이 되면 못자리를 마련하는 것부터 해서 본격적으로 농사철이 시작됩니다.

 

2. 여름

  • 입하 (양력 5월 6일) :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날로 봄은 완전히 퇴색하고, 묘판에 볍씨의 싹이 터서 모가 한창 자라며, 보리가 익을 무렵의 서늘한 날씨라는 뜻으로 맥량, 맥추라고도 부릅니다.
  • 소만 (양력 5월 21일) : 본격적인 농사의 시작철로 초목이 우거지고, 만물이 점차 생장하여 가득 찬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때 보리이삭은 익어서 누런색을 띠고, 여름의 문턱이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 망종 (양력 6월 6일) : 보리는 익어 먹게 되고, 모를 심게 되는 시기로 수염(까끄라기)이 있는 곡식의 씨앗을 뿌리기에 좋은 때를 말합니다. 이 시기에는 모내기와 보리베기를 하게 됩니다.
  • 하지 (양력 6월 21일) : 일 년 중 낮이 가장 긴 날로 태양은 황도상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하며 하지점이라고 합니다. 일 년 중 태양이 가장 높이 뜨고 낮이 긴 만큼 밤의 길이는 가장 짧습니다.
  • 소서 (양력 7월 7일) : 여름 더위가 시작되는 날로 '작은 더위"라고 불리며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는데요. 주로 여름 장마철로 습도가 높고 많은 비가 내립니다.
  • 대서 (양력 7월 23일) : 더위가 가장 심한 날로 장마가 끝난 후 무더위가 시작됩니다. 대서에는 더위 때문에 "염소뿔도 녹는다"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3. 가을

  • 입추 (양력 8월 8일) : 가을의 시작으로 여름이 지나고 가을이 접어들었음을 알리는 절기입니다. 한창 벼가 익어가는 때입니다.
  • 처서 (양력 8월 23일) : 이 시기부터 더위가 그친다는 뜻으로 여름 더위가 가시고 신선한 가을을 맞이하게 되는 날로 '처서에 비가 오면 독의 곡식도 준다'라는 속담이 있는데요. 이 시기에 비가 많이 오면 추수를 앞둔 곡식들이 망가지게 됩니다.
  • 백로 (양력 9월 8일) : 이슬이 내리며 가을의 기운이 스며들기 시작하는 때로 가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절기입니다. 이때쯤 밤에 기온이 이슬점 이하로 내려가 풀잎이나 물체에 이슬이 맺히게 되는 것을 뜻합니다.
  • 추분 (양력 9월 23일) : 밤이 길어지는 시기로 태양이 황경 180도의 추분점에 위치하여 봄의 춘분처럼 낮과 밤의 길이가 똑같아지는데요. 추분을 전후하여 논밭의 곡식을 수확합니다. 
  • 한로 (양력 10월 8일) : 온도가 내려가 찬이슬이 맺히기 시작한다는 뜻으로 기온이 더 내려가기 전에 오곡백과를 수확하기 위해 타작이 한창인 절기입니다.
  • 상강 (양력 10월 24일) : 서리가 내리는 시기를 뜻하는 것으로 이때는 단풍이 절정에 이르며 국화도 활짝 피는 늦가을입니다. 추수가 마무리되는 절기입니다.

 

4. 겨울

  • 입동 (양력 11월 8일) : 겨울이 들어왔다는 뜻으로 이 무렵에 밭에서 배추와 무를 뽑아 김장을 시작하는데요. 동면하는 동물들은 땅속에 굴을 파고 숨어 들어가는 절기입니다.
  • 소설 (양력 11월 2일) : 첫눈이 내린다는 뜻으로 얼음이 얼기 시작하는데요. 바람이 심하게 불고 날씨도 추워져 이 무렵의 바람을 손돌바람이라고 부릅니다.
  • 대설 (양력 12월 7일) : 큰 눈이 온다는 뜻으로 일 년 중 가장 눈이 많이 내리는 절기인데요. 대설에는 새해맞이 준비를 하고 농사를 쉬게 되는 농한기이기도 합니다.
  • 동지 (양력 12월 22일) : 일 년 중에서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로 동지에는 밤이 긴 만큼 음이 강하니 귀신을 쫓는다는 동지팥죽을 먹는 날입니다. 여름의 하지와 반대입니다.
  • 소한 (양력 1월 6일) : 작은 추위라는 뜻을 가졌지만 겨울 중 가장 춥게 느껴지는 때로 실제 우리나라에서는 소한 무렵이 가장 춥습니다.
  • 대한 (양력 1월 20일) : 제일 마지막 24번째 절기로 큰 추위라는 뜻을 가졌지만 '소한의 얼음이 대한에 녹는다'라는 속담처럼 대한이 소한보다 덜 춥습니다.

 

보시다시피 24절기는 농사와 깊은 연관이 있는데요. 갈수록 봄과 가을이 짧아지고 있어 아쉽습니다. 이번 겨울은 매우 추워서 다가오는 농사는 풍년일 듯한데요. 24절기를 보면서 선조들의 지혜가 느껴지는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